인감증명서 인터넷 발급하는 방법, 발급 시 필요한 준비물 (정부24)

 2024년 9월 인감증명서를 온라인으로 발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부동산 매도용 또는 자동차 매도용이 아닌 일반용 인감증명서신청할 수 있고, 법원 또는 금융기관 제출용으로는 사용할 수 없다고 합니다. 




1. 인감 증명서란


인감증명서는 서류에 날인된 인감이 그 사람이 맞다는 것을 증명해주는 문서입니다.개인인감증명서와 법인인감증명서 두 가지가 있고, 법인인감증명서는 특유의 문서이기에 인간증명서라고 하면 보통 개인인감증명서를 말합니다. 



2. 온라인 인감증명서 발급 서비스 대상

1) 인,허가 및 면허 신청

: 도로점용, 검축, 영업/폐업신고, 개인택시, 옥외광고물 등


2) 공증. 보증

: 재정보증, 자금 대부 보증


3) 보상 청구

: 소송사무 청산금, 유족보상 등


4) 계약, 사업신청

: 주택, 토지계약, 청약, 입찰참가 등


5) 경력 증명



3. 인감증명서 발급받는 방법



1) 거주지 상관없이 시군구청 혹은 행정복지센터에서 발급 가능

2) 인터넷으로도 발급 가능(2024.9월부터)

  - 수수료 600원, 기초생활수급자 면제가능

  - 발급기관에 인감을 등록하지 않았다면 사용할 인감과, 신분증을 가지고 주민센터로 가서 오른쪽 엄지의 지문을 찍고 발급 가능

  - 인감 변경은 주민등록지관할 주민센터로 가야함




4. 인터넷 인감증명서 발급받는 방법


1) '정부24' 홈페이지에 접속을 합니다. 

회원가입을 하지 않아도 되고, 로그인을 누릅니다. 




2) 금융인증서가 있다면 로그인을 하면됩니다. (로그인 방법 개인선택)

저는 금융인증서 발급 후 로그인 했어요. 금융인증서 발급하는 방법은 어렵지 않고, 발급 후 이름, 전화번호,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전화번호로 본인인증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3) 그 다음에 유의사항 확인 페이지가 뜨면 확인체크하고 '다음으로'로 클릭합니다.







4) 신청인 정보를 기록하고 주민번호와 주소 확인을 합니다.



5) 전화번호 인증을 합니다. 그 다음에 발급하는 용도를 체크합니다. 

인터넷 인감은 법원, 금융기관에 제출용으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6) 전화번호 인증을 하는데, 개인의 편의에 따라 카카오톡 인증을 해도 됩니다. 

저는 이게 더 편했어요. 





7) 수령방법은 온라인 발급으로 하고 '신청하기'를 누릅니다. 



8) 민원 접수한 후에 문서 출력을 할 수 있습니다. 




정부 24에 들어가면 순서대로 하면 인감증명서 발급하는 거 어렵지 않습니다. 

프린트기가 있으면 출력까지도 할 수 있습니다. 이제 꼭 기관에 가지 않아도 인터넷으로 쉽게 발급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