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황달의 원인과 증상, 치료 방법

 



1. 신생아 황달

신생아들 중에 생 후 며칠 이내에 경험할 수 있는 증상 중에 하나입니다. 혈액 내에 빌리루빈의 높은 수치로 인해 피부와 눈이 노랗게 변하게 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신생아 황달은 시간이 지나면 점차 나아지는 것이 일반적이고, 심각해지면 뇌 손상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신생아에게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는 것을 이미 알고 있는 것도 중요합니다.  


2. 신생아 황달 원인

신생아 황달의 원인은 주로 신생아가 간이 아직 미성숙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미성숙한 간 때문에 간이 빌리루빈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해서 황달이 생깁니다. 빌리루빈이라는 것은 적혈구가 정상적인 분해되는 과정에서 나오는 노란색 색소인데, 혈액 성분이 쌓이게 되면 황달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신생아는 혈류에서 빌리루빈이 제거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으며 빌리루빈이 축적되어 피부와 눈이 노랗게 됩니다. 다시 말해서 빌리루빈이 간에서 대사가 되어야 하는데 신생아는 간 기능이 아직 제대로 되지 않아 빌리루빈이 대사가 되지 못하고 축적되게 되니 혈중에 빌리루빈 농도가 짙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황달로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또 다른 원인으로는 미숙아로 태어났을 때 만삭아보다 간의 기능이 떨어지게 때문에 황달이 더 나타나게 됩니다. 그리고 모유가 황달을 때론 일으킬 수 있습니다. 젖을 잘 먹지 못하거나 엄마의 젖양이 부족한 경우에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엄마와 신생아의 혈액형의 불일치로 인해 적혈구 파괴가 증가해서 빌리루빈 수치가 많아질 수 있습니다. 


3. 신생아 황달 증상

신생아 황달의 뚜렷한 증상은 눈의 흰자와 피부가 노랗게 변한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얼굴부터 시작하여 가슴과 배, 다리로까지 퍼집니다. 노랗게 되는 것을 잘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눈에 보이는 황달의 증상이외에도 모유를 잘 먹지 못한다거나 해서 상태가 더 심각해질 수도 있습니다. 황달이 심해지는 경우 울음이 많아지고, 무기력해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빌리루빈 수치가 상당히 높을 수 있는데, 이때에는 즉각적으로 의학적 치료를 해야 합니다. 뇌 손상으로 갈 수도 있고, 핵황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잘 관찰해야 합니다. 


4. 신생아 황달 치료법

대부분은 황달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간이 성숙해지기 때문에 저절로 해결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광선치료를 하게 됩니다. 광선치료는 아기의 피부 안에 있는 빌리루빈 분해를 돕는 특수한 조명 아래에 두는 것입니다. 더 심각한 경우에는 교환수혈이라는 것을 추가적으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모유나 분유를 통해 영양공급을 하게 되면 규칙적인 배변 활동을 하게 되고 빌리루빈이 빠져나가게 하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신생아 황달은 일반적으로 많이 일어나는 질병이기도 하지만 태어났을 때 의료진이 잘 관찰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위험한 상황을 벗어날 수 있습니다. 부모들도 황달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알고 있으므로 잘 관찰하고, 마음적으로 미리 준비하는 것도 필요합니다.